반명함판 사이즈 체크
- 도움되는창고
- 2020. 4. 29. 18:10
사회생활을 하다보니 이것 저것 요구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다 규격이 달라서 한번씩 헷갈려서 검색을 해보게 됩니다. A4, B5 등은 물론이요 사진 사이즈도 제 각각이라서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는 것도 일입니다.
최근에 저는 반명함판 사이즈 사진이 필요한 적이 있었습니다. 가지고 있는 사진이 여러가지라서 다시 사이즈 검색을 했습니다. 특히 사진 사이즈 하나로 통일하면 안될까요?
반명함판
반명함판 사이즈는 말 그대로 명함의 사이즈 절반이란 의미입니다. 반명함판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진 사이즈로 가로가 3cm 세로가 4cm입니다. 사진관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는 상관이 없지만 집에서 셀프로 증명사진을 찍을 땐 이 사이즈를 꼭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반명함판 사이즈만큼 많이 사용하는 사이즈 여권사진입니다. 여권사진 사이즈는 가로 3.5cm 세로 4.5cm로 반명함판보다 조금 큽니다. 요즘은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증명사진은 가로 2.5cm 세로 3cm 크기입니다.
사진 규정
여권 사진이 가장 까다롭지만 사진이 신분증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비중을 생각할 때 다른 사이즈의 사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해서 나쁠 것이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목구비가 정확하게 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문처럼 귀나 눈썹이 개인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모두 드러나야 합니다.
배경은 사진 찍힌 사람을 분명히 드러내게 하기 위해 깔끔한 흰색이 기본입니다. 또한 사진을 요구하는 곳에서 항상 이야기하는 것이 바로 최근 6개월 이내의 사진이란 조항입니다. 헤어스타일이나 나이가 들어 모습이 달라진다거나 극단적으로 성형수술을 하면 모습이 차이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사진으로 본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사진에는 상반신만 나와야 하고 정면을 바라봐야 합니다. 배경이 흰색인 만큼 하얀색 의상은 피해야 합니다. 꼭 흰색이 아니더라도 밝은 색상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경도 최근에 규정이 완화되어 눈썹을 너무 많이 가리거나 눈을 가리는 경우가 아니라면 착용이 가능합니다.
셀프로 반명함판 사진 만들기
여권 사진에 비해 덜 까다로운 반명함판 사진의 경우 셀프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금 손품을 팔면 아주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유치원 등에 제출할 사진으로 셀프 반명함 사진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이 화질이나 기능 면에서 좋아서 집에서 핸드폰으로 뚝딱 반명함판 사진을 제작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우선 하얀 벽면을 찾아야 합니다. 아이의 의상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흰색이나 밝은 색의 의상은 피해야 이목구비가 더 확실하게 나옵니다.
그리고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 촬영을 합니다. 아이는 허리를 곧게 뼈고 어깨는 양쪽이 모두 반듯하게 한 후 턱은 조금 안으로 당깁니다. 기본 카메라로 찍어도 되고 요즘은 어플에서 증명사진 찍기 기능이 있으니 이를 활용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결과물을 즉각적으로 확인해 필요한 부분을 수정해 여러 차례의 촬영을 해야 만족스런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진 인화 사이트에 인화를 맡기면 되는데, 사진 규격에 여권, 반명함판, 증명사진, 명함판 규격이 있습니다.
찍스 기준으로 8장에 2,500원으로 인화가 가능합니다. 배송료는 별도이고 찍스보다 저렴한 곳도 존재합니다. 배송료를 합해도 사진관에서 촬영하는 것보단 저렴한 가격입니다.
반명함판 픽셀
반명함판 사이즈에 대해서는 알게 되었지만 픽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온라인 접수를 한 후 사진을 업로드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입니다. 반명함판 픽셀 규격은 235*315pixel입니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큐넷에서 접수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때 필요한 사진 규격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때 반명함판 사이즈는 역시 3cm*4cm이고 반드시 확장자가 jpg여야 합니다. 확장자는 포토샵 같은 편집 프로그램이 아니어도 그림판 등으로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200DPI에 236*315 픽셀로 규격을 맞춰야 합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명함판 사이즈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만큼 3*4cm라는 규격을 알아두면 매번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반명함판의 경우 여권사진과 달리 약간의 포토샵으로 매끄럽게 해주기 때문에 좀 더 만족스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움되는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구 막혔을때 노하우 (0) | 2020.05.04 |
---|---|
윈도우10 시작프로그램 관리 솔루션 (0) | 2020.05.02 |
공무원 여비규정 확인 (0) | 2020.05.01 |
화면보호기 설정방법 5살도 가능 (0) | 2020.04.30 |
화장실 변기 뚫는 법 속이 시원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