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음식 종류 !

일년에 한번쯤은 집집마다 볼수있는 모습이 제사지내는 모습인데요. 기독교인 집안에서도 절은 안하지만 제사상은 차려놓은 집들은 많이 볼수 있습니다. 매년 작게는 한번 많게는 열번도 넘게 제사지내는 집들이 있는데요. 제사지내는 방식은 꼭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각 지방마다 다르고 각 가정마다 또 다른 제사음식 종류로는 무엇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음식에 넣지 말아야할 재료

 

 

 

 

 

제사음식은 주로 소금과 간장으로만 만들어야 합니다. 향신료는 대부분 사용하면 안되는데요. 마늘이나 고춧가루, 후추등은 제사음식 재료에서 제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제사상은 돌아가신 조상님들을 위해 차리는 상인데요. 이런 향이 강한 음식들을 귀신이 싫어한다고 해서 사용하지 않는 답니다.

 

제사음식 종류

 

 

 

 

제사음식의 종류로는 육류고기인 적과 생선, 나물과 과일, 과자등이 있습니다. 요즘은 돌아가신분이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들도 올리는 가정들도 있는데요. 꼭 정해져 있는 방식이 아닌 고인이 주로 드시던 식사를 정갈하게 정성을 다해 차린다면 그것또한 좋은 상차림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제사음식 종류 첫번째

 

 

 

 

제사음식 종류 첫번째는 전입니다. 전이나 부침개는 제사음식에 빠질수 없는 음식인데요. 육전과 어전 두종류를 준비 합니다. 옛날에는 육전과 어전 모두 짝수로 준비를 했지만 지금은 따로 홀수 짝수 구분없이 놓는것이 대부분 입니다.

 

제사음식 종류 두번째

 

 

 

 

첫번째는 전이었다면 다음으로는 나물입니다. 나물은 주로 고사리, 도라지, 배추나물등 3색 나물이 올라가는데요. 도라지는 하얀색 나물로 무나물이나 숙주나물로 하는 집도 많습니다. 또한 배추나물은 시금치로 쓰는 집도 많습니다. 나물무침에도 위에서 말한것 처럼 절대 마늘이나 고추가루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사음식 종류 세번째

 

 

 

 

다음은 떡인데요. 제사에 올리는 떡은 색깔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팥고물을 쓸경우는 팥 껍질을 벗겨내어 가급적이면 색이 없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주로 백설기나 인절미, 시루떡중 한접시만 올립니다.

 

제사음식 종류 네번째

 

 

 

 

밤,감,대추는 전통적으로 옛날부터 제사상에 올리는 과일이었는데요. 요즘은 계절에 따라 사과, 수박, 참외등 하나에서 두종류는 준비합니다. 과일은 밑둥과 윗둥은 따서 올리고 밤은 껍질을 깍아 올립니다. 포 로는 주로 문어나 건어를 사용하며 문어는 데쳐서 올리고 건어는 머리쪽에 이빨쪽과 꼬리 지느러미쪽을 살짝씩 잘라내어 올립니다.

 

제사음식 종류 다섯번째

 

 

 

 

제일중요한 제삿밥입니다. 요즘은 제사를 합쳐서 지내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어 올립니다. 국 역시 마찬가지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담아 올립니다. 국은 주로 소고기 무국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대로 마늘이나 고춧가루등은 넣지 않습니다.

 

제사음식 종류 여섯번째

 

 

 

 

구이인 적은 옛날엔 육적이나 어적,계적 3적을 모두 올렸으나 지금은 한가지만 올리게 바뀌게 되었습니다. 육적은 소고기를 길게 썰어 소금구이하듯 익혀 올리기도 하고 간장양념을 사용하여 구워 올리기도 합니다.

 

 

제사음식에 김치를 올리기도 하는데요. 고춧가루나 마늘을 사용하지 못하여 주로 흰 나박김치를 올리게 됩니다. 간장을 같이 올리기도 하고 육포을 올리는 곳도 있다고 하니 제사음식은 정해진것보단 정성으로 한상가득 차리는것이 맞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제사음식 상차림의 마음가짐

 

 

 

이렇게 손이 많이 가는 제사음식 가족모두 함께 하거나 요즘은 한가지씩 만들어서 모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각 가정에 맞게 시장에서 맞추는 분들도 많다고 하네요. 어떤방법이든 정성가득한 마음가짐이라면 상관없을듯 하네요.

 

 

제삿상 하면 한번쯤 들어봤을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흰색 과일은 서쪽으로 놓는다는 의미이지만 논란이 있기도 한답니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정성가득한 마음가짐이라면 홍동백서 상관없이 모든 제사가 돌아가신분을 추억하는 날이 아닐까요?

 

 

 

'도움되는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f 파일 만들기 이렇게  (0) 2020.05.08
새싹보리 키우는법  (0) 2020.05.06
하수구 막혔을때 노하우  (0) 2020.05.04
윈도우10 시작프로그램 관리 솔루션  (0) 2020.05.02
공무원 여비규정 확인  (0) 2020.05.01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