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백일장이나 글쓰기 대회에 나가면 자연스럽게 원고지에다가 글을 작성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학교 방학숙제로 독후감을 써내야 할 때도 원고지를 이용했는데요. 원고지 쓰는법에 맞춰 원고지 한 칸 한 칸 안에 글씨를 또박또박 적으면서 글쓰기 연습을 한 기억도 있습니다. 이 때 띄워쓰기에 대해서도 많이 배웠습니다.
요즘에는 원고지를 찾아보기가 거의 힘듭니다. 백일장과 같은 글쓰기 대회에서라면 모를까 실생활에서 원고지를 사용하는 분들을 찾아보기가 힘든데요. 시대가 흘러감에 자연스레 독후감 또는 글쓰기를 하는 학생들이 적어지게 되고, 글쓰기 과제를 하더라도 원고지보다는 컴퓨터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추억의 원고지
점점 추억 속으로 사라져가는 것이 마음 아프지만 한번씩 생각나서 원고지에다가 글을 써보기도 하는데요. 원고지 쓰는법이 워낙 오래된 기억이라 글을 써보려는 분들이 한번씩 찾아본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원고지 칸에 맞춰 알맞게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종류
첫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글의 종류를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의 종류란 독후감, 수필, 운문, 산문 등 자신이 작성하는 글의 종류를 적는 것인데요. 글의 종류는 원고지의 첫 줄의 왼쪽에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글의 종류를 쓸 때 반드시 첫 칸을 띄우고 작성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작성방법입니다.
제목, 소속, 이름
두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제목과 소속, 이름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제목은 원고지의 둘째 줄 가운데에 작성을 합니다. 만약 제목이 2~3글자로 짧은 경우에는 한 칸씩 벌려 써서 보기 좋게 작성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소속의 경우 제목 아랫줄에 작성하는 것이 좋은데요. 오른쪽에서 2칸이나 3칸 정도는 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이 때 소속과 이름을 한 줄에 써도 되고, 두 줄로 나눠 써도 무방합니다.
띄우기
세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띄우기 방법입니다. 우선, 첫장 제목과 소속, 이름 사이에는 한 줄씩 띄워서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소속, 이름 밑에 본문을 작성할 때도 소속, 이름 아래 한 칸을 띄워서 작성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본문내용 첫 글자는 반드시 왼쪽에서 한 칸 띄운 뒤 작성(문단이 바뀔 때도 마찬가지)을 시작해주면 됩니다.
숫자 표기
네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숫자 표기방법입니다. 우리가 컴퓨터를 배울 때 byte개념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운데요. 한글은 한 자에 2byte, 영어 또는 숫자는 1byte로 계산되죠. 원고지 한 칸이 2byte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원고지 한 칸에 한글은 1글자, 숫자와 영어는 한 칸에 2글자씩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E-mart에서 10,000원을 내고 320원 거스름돈을 받았다.'를 원고지 표기법으로 띄워쓴다면 '나/는//E/-/ma/rt/에/서//10/,/00/원/을//내/고//32/0/원/거/스/름/돈/을//받/았/다/./'로 작성을 해야 맞는 표기입니다. 이렇게 설명으로 들으면 헷갈릴 수 있겠지만 직접 원고지에 써보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부호 및 기호 표기
원고지에 작성하는 글은 한글, 영어, 숫자 외에도 부호 및 기호도 있는데요. 다섯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x, +, ÷, -, = 등의 수식 부호나 기호를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수식 부호나 기호의 경우는 원고지 한 칸에 하나씩 작성하는 것이 올바른 원고지 작성법이므로 헷갈리지 말아야 합니다.
점 표기
여섯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점 표기입니다. 글을 쉴 때나 마칠 때 반점(,) 또는 온점(.)을 사용합니다. 온점과 반점을 한 칸에 작성하고 또 한 칸을 비우는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다음 칸을 비우지 않고 바로 이어서 문장 작성을 하면 되는데요. 만약 문장이 맨 끝 칸에서 끝날 때는 온점을 글과 함께 한 칸 안에 작성하면 됩니다.
일곱 번째 원고지 쓰는법으로는 따옴표와 느낌표, 물음표, 줄임표 등의 표기법인데요. 따옴표의 경우도 온점과 마찬가지로 글과 함께 한 칸에 같이 쓰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느낌표나 물음표의 경우는 항상 다음 칸을 비워주는 것이 옳은 작성 방법입니다. 마지막 줄임표는 점 3개를 한 칸에 나눠서 두 칸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도움되는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크래프트 치트키 가이드 (0) | 2020.06.09 |
---|---|
dwg파일을 pdf파일로 변환 쉬워요 (0) | 2020.06.08 |
디스크 검사 따라하기 (0) | 2020.06.02 |
집들이 선물 베스트 엄선 (0) | 2020.06.01 |
넷플릭스 한국드라마 추천 TOP4 (0) | 2020.05.31 |